밴복실
식목일 유래와 의의 본문
매년 4월 5일은 국가가 지정한 식목일로써
나무를 심고 가꿈을 권장하기 위해 탄생 된 날이다.
초등학교 때 다들 포트에 흙을 퍼서 꽃 한송이 심어 본적은 있을 겁니다.
식목일을 단순히 의미 부여하여 지나 지는것이 아니라 다시 한번 알아 봣으면 좋겠습니다
이 식목일은 1949년에 개정되어 지금까지 달력에 남아 있는 날입니다.
원래는 국가 공휴일로 속히 빨간날 이였지만 06년 이후 완전히 평일 검은날로 바뀌어 버렸습니다.
그 이유에는 국가 공휴일 이라는것이 먼저는 모든 국민이 이해할 수있는 의미가 되어야하는데 충분하지 못하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또한 4월 5일로 지정한 이유는
조선시대 성종이 직접 밭을 나가 밭을 간 날과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음력 2월 25일을 양력으로 하게되면
4월 5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하듯이 국경일이나 여러 의미가있는 날에는 과거를 돌아봐서 그 의의를 잘 알수가 있습니다.
한글날이나 개천절, 광복절은 과거 선조들의 노력과 뜻이 있었던 같이 말입니다.
최근에는 환경문제가 다시끔 부각 되면서 이 식목일을 다시 국가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달력상 공휴일은 아니지만 기아자동차, 현대자동차는 친환경 기업으로 식목일을 쉬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울진 산불, 미세 먼지 등 여러 환경적 재난이 많은 가운데 나무의 소중함 그리고 친환경적 시선이 필요
해보입니다.
대구와 같은 내륙지방에서는 여름철 기온이 해안가 지방보다 차이가 나기 때문에 수목을 상대적으로 많이 심어
여름철 같은 경우 온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해 대구시 내에서는 수목을 옮기거나 제거할 때에는 까다로운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문화가 발전하고 개인 여가시간 보장이 나타나면서 사회 여러 방면으로 이러한 것을 충족시켜 주고있습니다
카페거리, 공원, 학원, 원데이 클래스 등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을 가장 많이 찾는것은 공원과
운치가 있는 곳 등이며 이러한 것은 나무와 자연들이 주는 내적인 안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면적 대비 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프로가 넘기 때문에 자연 경관으로써는
가장 좋고 수목 활용도도 뛰어납니다.
좋은 풍경을 볼때에 나무 하나 하나의 이름은 모르지만 그것들이 모여 하나의 풍경을 나타내니 아름다운 조화가 됩니다
거리에 자주 보이는 은행나무가 있습니다
이 은행나무는 열매의 고약한 냄새 말고는 다방면으로 강한 나무입니다
자동차 공해와 소음, 차폐 등 우리가 자세히는 알지 못하지만 나무는 세부적으로도 개인 성향이 있답니다.
이 부분은 다시 한번 다뤄 볼수있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일상이야기(대부분 복실이)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의 종류, (0) | 2022.04.03 |
---|---|
콧물로 보는 건강 상태, (0) | 2022.03.05 |
이탈리아와 한국, (0) | 2022.03.05 |
코로나 걸렸습니다, (0) | 2022.03.04 |
영국과 웨일스,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 그리고 러시아 (0) | 2022.02.28 |